국내 화학·소재 기업들이 고부가가치 친환경 플라스틱 기술을 확보하고도 글로벌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 수출국의 친환경정책이 흔들리는 데다 까다로운 인증 절차와 국내 제도의 미비가 수출 확대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주요 석유화학 기업들이 관련 설비투자와 사업계획을 잇따라 보류하는 가운데 중국은 기술집약형 제품군까지 빠르게 추격하고 있어 국내 기업의 초격차 전략이 무력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수출길 막힌 국내 기업들1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과 EU 등 주요국은 최근 친환경정책 기조에서 한발 물러서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은 탄소중립보다 에너지 안보와 가격 안정을 우선시하면서 화석연료 산업에 다시 힘이 실리는 분위기"라며 "EU도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에 대응해 친환경 규제 강화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흐름은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전략에 따라 친환경 소재에 집중해온 국내 기업들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고 있다. 특히 내수 시장이 협소한 친환경 플라스틱 산업의 특성상 수출 제약은 곧 성장기반 자체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현재 SK케미칼·삼양그룹·휴비스 등은 자체 기술력을 기반으로 친환경 고기능 소재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SK케미칼은 코폴리에스터와 생분해 수지를 중심으로 친환경 소재 포트폴리오를 확장하며, 지속가능한 솔루션 공급에 집중하고 있다. 삼양그룹은 고순도 이온교환수지를 통해 반도체용 친환경 수처리 기술을 확보했고, 휴비스는 재활용 소재 기반의 저융점섬유(LMF) 생산라인을 확대해 글로벌 완성차업체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다만 수년간 축적한 기술력에도 불구하고 국가별 인증제도의 차이와 까다로운 승인 절차는 여전히 수출 확대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는 생분해성 섬유·수지에 대한 인증체계조차 없어 기업들은 미국 재료시험협회(ASTM), 독일표준원(DIN) 등 해외 인증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 과정에
ESG 열풍 시들… 친환경 사업 줄줄이 좌초 [불확실성에 흔들리는 ESG 경영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