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가상자산 이용자 20%가 피해 경험 “이용자 보호 규제 강화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5.07 16:46:07
조회 6074 추천 0 댓글 6
[IT동아 한만혁 기자]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이 ‘2024 가상자산 이용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가상자산 이용자는 지난해 7월 시행된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로 가상자산 시장 안정성이 강화됐다고 느낀다. 하지만 사기 행위와 미신고 사업자에 대한 처벌, 거래소 전산 및 보안 등에 대한 규제는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2024 가상자산 이용실태 조사는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이 가상자산 이용자의 현황 및 행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대한 인식 및 체감 여부를 파악하고, 향후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및 규제 방안, 법 개정 연구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진행했다. 조사 대상은 서울, 경기, 6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69세 성인 남녀 2500명이며, 기간은 지난 2024년 12월 17일부터 31일까지다.


출처=엔바토엘리먼트


가상자산 피해자 20.3%, 유형은 거래소·리딩방·투자 사기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상자산 보유자 중 피해를 경험한 응답자가 20.3%로 나타났다. 그중 60대가 25.3%로 가장 높았다.

피해 유형은 크게 거래소 관련 피해(72.8%), 리딩방 피해(44.7%), 투자 사기(35.5%)로 나뉜다. 거래소 관련 피해는 전산 장애로 매도를 제때 하지 못해 손해 본 경우가 40.6%, 거래소 폐업으로 자산을 잃은 경우가 20.7%, 해킹으로 자산 전부 또는 일부를 잃어버린 경우가 11.5%로 집계됐다.

리딩방 피해는 가입비 지불 후 정보를 받지 못하거나 부정확한 정보로 인한 피해가 23.2%, 시세조종 및 대리매매에 이용돼 금전 피해를 본 경우가 21.5%다. 투자 사기는 가상자산 사칭 또는 투자권유 업체 사기가 18.0%, 불법 또는 사칭 가상자산 거래소 사기가 10.3%, 사기범으로 인한 피해가 7.2%다.

이들 피해자는 피해 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피해 금액이 적다는 이유다. 피해 금액의 경우 100만 원 미만이 34.6%로 가장 높았으며, 피해자의 75.1%가 1000만 원 미만의 피해를 입었다.

피해 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경우는 67.7%였다. 그 이유는 ▲신고해도 구제받을 수 없을 것으로 생각해서(47.8%) ▲피해 금액이 많지 않아서(36.2%)다. 반면 피해자의 32.3%는 피해 구제를 위해 SNS, 유튜브, 가상자산 커뮤니티 등에서 도움 및 정보를 요청했으며(43.3%), 금융감독원 신고(33.3%), 경찰 신고(31.6%), 주변인에게 공유(26.1%) 등의 방법으로 대응했다. 하지만 피해 발생 이후 73.9%가 피해 금액을 회수하지 못했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인지도 / 출처=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


가상자산 영업 행위 규제 강화 필요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은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대한 체감 여부 및 개선사항에 대한 조사도 진행했다. 조사 결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인지율은 63.1%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법 시행 후 실제 체감하고 있다는 비율은 25.4%로 집계됐다.

이들은 해당 법이 ▲금융당국의 감독 및 제재 강화(17.3%) ▲거래소 이용자 자산 관리 안정성 증가(15.4%) ▲무분별한 가상자산 상장 수 감소(14.3%) ▲거래소 해킹, 전산장애 등 사고 위험성 감소(12.9%) 등 가상자산 시장 안정성 강화에 기여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법 개선 사항으로 ▲사기행위에 대한 처벌 강화(26.8%) ▲거래소 전산 설비 및 보안 안정성 강화(21.5%)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감시 의무화(19.2%) ▲미신고 사업자에 대한 엄격한 처벌(12.6%) 등을 꼽았다. 한국금융소비자재단은 “가상자산 이용자는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영업 행위 규제가 보다 강화되기를 원한다”라고 분석했다.


가상자산 이용자는 이용자 보호 규제 강화를 요구한다 / 출처=엔바토엘리먼트


신뢰성 확보 위해 이용자 보호 규제 강화해야


2024 가상자산 이용실태 조사는 국내 가상자산 이용자 현황과 주요 피해 사례 및 대처 행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대한 인식 및 개선 사항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다.

이번 조사를 통해 거래소 및 리딩방 관련 피해, 투자 사기로 인한 피해는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피해자는 적극적인 대처를 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신고해도 구제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피해 발생 후 피해 금액을 회수하지 못한 피해자가 73.9%나 된다. 이에 이용자 피해에 대한 사전 예방 및 강력한 제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가상자산 이용자는 사기 행위 처벌 강화, 거래소 전산 설비 및 보안 강화 등의 규제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국회와 금융당국, 가상자산 업계는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2단계 법안 등 관련 규제를 준비 중이다. 주요 화두는 가상자산 업 분류 및 관련 규제, 사업자 진입 규제 등 사업자 관련 규제다. 물론 가상자산 산업 진흥을 위해서는 필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가상자산 이용자가 요구하는 것은 기존 법의 이용자 보호 규제 개선이라는 점을 간과하면 안 된다. 사업자 규제뿐 아니라 실제 이용자 요구를 반영한 이용자 보호 규제 개선도 함께 이뤄져야 할 것이다.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 역시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가상자산 시장의 신뢰성 확보가 중요하므로 이용자 규제 개선 요구사항을 반영해 안전한 거래 환경을 확립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IT동아 한만혁 기자 (m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가상자산 거래소, SKT 이용 고객에게 ‘계정 보안 강화’ 당부▶ “확장성·비용 효율성 좋은 스테이블코인, 명확한 규제 필요한 시점”▶ [크립토퀵서치] 미국 관세 정책에 가상자산 시장이 요동치는 이유는?



{{/if}}
'); } } }); } else { $('.writing_view_box img, .writing_view_box video').each(function(i) { var src_attr = $(this).prop('tagName') == 'VIDEO' ? 'data-src' : 'data-original'; if(src_attr == 'data-original') { if ($(this).attr(src_attr) === undefined) { src_attr = 'src'; } } var evt_attr = $(this).prop('tagName') == 'VIDEO' ? 'loadeddata' : 'load'; if($(this).attr(src_attr).match(/dcimg[0-9]\.dcinside\.(com|co\.kr)\/viewimage\.php/)) { if($(this).hasClass('og-img')) return true; $(this).data('numbering', ++numbering_cnt); $(this).on(evt_attr, function() { var no = $(this).data('numbering'); var small_class = ''; var show_tip = ck_img_numbering == '' && no == 1; var show_btn = show_tip; if($(this).width() 4) { show_tip = false; } else { document.cookie = "ck_img_view_cnt="+ ck_img_view_cnt +"; domain=.dcinside.com; path=/; expires=Fri, 31 Dec 9999 23:59:59 GMT;"; } } var div_display = ''; if($(this).css('display') == 'none') { var div_display = 'display:none;' } $(this).wrap('
'); $('#img_numbering-tmpl').tmpl([{no: no, onoff: onoff_txt, btn: show_btn, tip: show_tip}]).appendTo('.writing_view_box .imgwrap.no'+ no); $(this).unbind(evt_attr); }).each(function() { if(this.complete) { $(this).trigger('load'); } }); } }); }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10

원본 첨부파일 3본문 이미지 다운로드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실제 모습일지 궁금한 미담 제조기 스타는? 운영자 25/05/05 - -
5254 [투자를IT다] 2025년 5월 1주차 IT기업 주요 소식과 시장 전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83 0
5253 [생성AI길라잡이] AI 산업의 가이드라인? ‘AI기본법’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85 0
5252 [농업이IT(잇)다] 온쿡컴퍼니 “송쭈집 주꾸미 브랜드로 K-푸드 르네상스 이루고 싶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90 0
5251 [리뷰] 게임∙창작 모두 손쉬운 만능 노트북, 에이수스 ROG 제피러스 G16(GU605CW)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7370 0
5250 [리뷰] 최대 128GB 통합 메모리로 성능 상한 높인 '애플 맥 스튜디오'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8022 7
5249 커피캡슐·폐의약품 수거…40년 만에 활용처 확대해 탈바꿈 ‘에코 우체통’ [1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7514 4
5248 비영리법인·거래소, 가상자산 매도 시 주의할 점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68 0
5247 [생활 속 IT] 네이버 지도, 거리뷰 3D로 생생하게 길찾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9 733 0
5246 [시승기] 디자인 가다듬고 배터리 용량 확대해 돌아온 ‘제네시스 GV60 부분변경’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130 0
5245 데이터 기반 투자 전략 수립 지원, 업비트 데이터랩·코인 분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86 0
5244 “투자자문 입회비 반환 드립니다” 솔깃한 전화ㆍ메시지 속지 마세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526 0
5243 [IT하는법] 안경 없어도 시야 확보하는 '접근성 돋보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8 130 0
5242 [주간스타트업동향] 로플랫, 2025 교차방문 트렌드 리포트 공개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173 0
가상자산 이용자 20%가 피해 경험 “이용자 보호 규제 강화 필요”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7 6074 0
5240 인공지능 장비 시장, 반도체에 붙은 불 ‘저장장치’로 옮겨가나?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6 224 0
5239 [신차공개] 2025년형 폴스타 2 출시·폭스바겐 ID.5 고객 인도 개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6 1787 0
5238 [주간투자동향] 씨드앤, 65억 원 규모 시리즈A 투자 유치 外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46 0
5237 해외 출국 전, SKT 유심 교체하려면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7663 0
5236 CD에 담긴 음악, 폰으로 들으려면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5 196 0
5235 [칼럼] 생성형 AI의 다음을 준비한다면, 지금 ‘양자 컴퓨팅’에 주목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203 0
5234 [생성AI길라잡이] 생성AI 기반 의료기기 임상시험 첫 승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9371 1
5233 [농업이IT(잇)다] 블레스드프로젝트 “농업부산물 업사이클링 뷰티 제품으로 순환 가치 제안하는 기업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184 0
5232 SKT, “14일까지 유심 물량 부족 불가피”…유심보호서비스 자동가입 지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198 0
5231 [IT애정남] 단톡방 이름을 바꿨는데, 왜 나만 바뀌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182 0
5230 [기고] AI와 미래 산업기술 - 2. AI 전문가, 미래를 디자인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2 170 0
5229 조영태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장 “인구 데이터, 기업의 성패 좌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1 187 0
5228 이용관 블루포인트파트너스 대표 “인구테크,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01 174 0
5227 청년창업 인프라의 ‘기준’을 만드는 강동구 청년해냄센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92 0
5226 SKT 해킹사고, 유심 교체 당장 어렵다면?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463 0
5225 재규어랜드로버 “통합 플랫폼 운영 및 보증 기간 확대로 소비자 신뢰 회복할 것”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322 0
5224 [주간스타트업동향] 코딧, '2025 대통령 선거 정책 모니터링 플랫폼' 출시 外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777 0
5223 [르포] 내 취향을 아는 AI 스토어 ‘나노’, 고객 맞춤 메뉴 제공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246 0
5222 [ETF/퇴직연금 Q&A] 퇴직연금, 은행에서도 ETF에 투자할 수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64 0
5221 [퀀텀 스타트업] 1. 큐비트 나침반으로 양자 시대를 개척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54 0
5220 SBA, 규제해소라운지 개소 ‘규제·애로 해소 위한 열린 소통 공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30 161 0
5219 [시승기] 55인치 디스플레이 탑재 및 편의 개선으로 탈바꿈...‘더 뉴 에스컬레이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181 0
5218 [리뷰] '헬스장 갈 시간 없다'는 핑계는 그만! 인공지능 홈트레이닝 설루션 '트랙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441 0
5217 서울과기대 메이커스페이스 센터, 연속성 있는 '제조 창업 지원' 나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170 0
5216 온라인 플랫폼, AI로 서비스 혁신이 ‘대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693 2
5215 가상자산 거래소, SKT 이용 고객에게 ‘계정 보안 강화’ 당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167 0
5214 [자동차와 法] 전기차 화재 줄일 기술 살펴보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9 147 0
5213 ‘인공지능 시대 변화상에 주목’ 마이크로소프트 2025 업무동향지표 발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175 0
5212 다이슨, 에어랩 코안다 2x 출시...“전작보다 2배 강한 모터…이제 스트레이트도 가능”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2455 1
5211 [뉴스줌인] ‘개살구’였던 HBM, ‘게임 체인저’ 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243 0
5210 [KESIA 프리팁스] AI 항만 탄소 배출 모니터링·예측 플랫폼 개발 ‘데이터플레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160 0
5209 [기술영업人] LLM 검증과 데이터 구축 분야로 떠오른 '셀렉트스타'의 도전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157 0
5208 ‘해킹사고’ SKT, 유심 무료 교체 결정…“이심으로 바꿔도 될까요?”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1220 1
5207 스마트폰 배터리 수명 확인하려면 이렇게! [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214 0
5206 [스타트업-ing] 리뉴어블스 플러스 “산불로 탄 나무, 활용을 넘어 지역 상생까지 꿈꾼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8 494 1
5205 [ICT이노베이션스퀘어확산사업] 그린트레이더 “오프라인 중심 조경수 시장의 디지털 전환 이끌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37 0
뉴스 문채원, ‘SNL 코리아 7’ 출현...“남자 친구 있나요?” 돌발질문에 솔직 답변 화제 디시트렌드 05.1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gall_name} 인물갤러리 ${req_dt}

${req_reason}

{{if req_reason_img !== ""}} {{/if}}

실시간 베스트

1/8